작성일
2025.09.08
수정일
2025.09.08
작성자
예술대학
조회수
12

20세기 전반기 전라북도 전통음악의 전개 양상과 의의: 판소리, 산조, 풍류, 농악을 중심으로

예술과 문화 The Journal of Arts and Culture
통권 제8호 | 2025년 8월
ISSN: 2799-9084
75-102(28pages)

황미연
20세기 전반기 전라북도 전통음악의 전개 양상과 의의: 판소리, 산조, 풍류, 농악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세기 전반기 전라북도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판소리, 산조, 풍류, 농악의 전개양상을 통해 의의를 고찰한 논문이다. 다만 본 연구가 당대의 각 종목에 집중하여 의미를 밝히는 것보다는 이 시기에 전개되었던 전라북도 전통음악의 전개 양상을 거시적으로 조망하기 위한 것으로 기생조합과 권번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한 글임을 미리 밝힌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세기 전반에 활동하던 근대 5명창 가운데 전라북도 출신은 유성준, 전도성, 정정렬 등이 활동하였다. 특히 향리를 지키며 활동했던 이기권은 정정렬에게 소리를 익혀 홍정택을 비롯하여 수많은 명창들을 배출하는 장본인이었으며, 향리에 머물며 묵묵히 자신의 소리를 전승하고자 노력하였던 인물에서 근대 전북 판소리사에서 명창뿐만 아니라 교육자로서 큰 발자취를 남겼다. 그리고 산조는 1세대의 확립을 거쳐 2세대들에 의해 확산되어 가는 경향이 있었는데, 그 범주에는 김종기류 가야금산조, 신관용류 가야금산조,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편재준류 대금산조, 강백천류 대금산조, 전용선 피리산조, 유동초 퉁소산조 등이 전개되었다.
풍류는 정읍과 고창을 중심으로 전문가와 비전문가, 기생들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연주되면서 시기적으로 1900년대 경성 풍류의 전수, 1920년대 풍류의 부흥, 1930년대 풍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1940년대 지역으로의 확산 등으로 요약된다. 농악 중 한국을 대표하는 우도, 좌도농악이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태동하여 발전하고, 정식 공연물로 안착되어 나갔다. 20세기 전반기 전라북도의 전통음악은 기생조합과 권번에서 교과목으로 채택되고 근대적인 신식극장에서 공연됨으로써 불특정 다수를 위한 공연종목으로 정착되어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신분철폐에 따라 악공과 창부들은 기생조합과 권번으로 자리를 옮기고 근대적인 예인들의 전통음악 발전에 노력하며 평가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의 전라북도 전통음악은 수많은 예인들을 통한 활동과 호남평야와 같은 풍부한 물산으로 인하여 애호가층이 늘어나 공급과 수요가 갖추어지면서 20세기 후반까지 그 명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 주제어: 전라북도, 판소리, 산조, 풍류, 농악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development of Pansori, Sanjo, Pungnyu, and Nongak in the Jeollabuk-do provinc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Rather than focusing on each genre of the period to define its significance,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macroscopic view of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in Jeollabuk-do during this perio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it focuses on the Gisaeng Association and Gwonbe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five modern master singers activ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ose from Jeollabuk-do were Yu Seong-jun, Jeon Do-seong, and Jeong Jeong-ryeol. In particular, Lee Gi-gwon, who was mostly active in his hometown, learned singing from Jeong Jeong-ryeol and was the main person responsible for producing numerous master singers including Hong Jeong-taek. He was a person who stayed in his hometown and quietly tried to pass down his singing, and he left a great mark in the history of modern Jeollabuk-do Pansori not only as a master singer but also as an educator. And Sanjo tended to spread through the second generation after being established by the first generation, and the categories included Kim Jong-gi-style Gayageum Sanjo, Shin Gwan-yong-style Gayageum Sanjo, Shin Kwae-dong-style Geomungo Sanjo, Pyeon Jae-jun-style Daegeum Sanjo, Kang Baek-cheon-style Daegeum Sanjo, Jeon Yong-seon Piri Sanjo, and Yu Dong-cho Tungso Sanjo.
Pungnyu was actively performed by professionals, non-professionals, and Gisaengs, centered around Jeongeup and Gochang, and can be summarized as the transmission of Gyeongseong Pungnyu in the 1900s, the revival of Pungnyu in the 1920s, efforts to overcome the Pungnyu crisis in the 1930s, and its spread to the regions in the 1940s. Nongak was born and developed around Jeollabuk-do as Udo Nongak and Jwado Nongak, which represent Korean Nongak, and became established as formal performance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raditional music of Jeollabuk-do was adopted as a curriculum in Gisaeng Association and Gwonbeons and was performed in modern new-style theaters, contributing to its popularization as a performance genre for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with the abolition of social status, musicians and Gisaengs moved to the Gisaeng Association and Gwonbeon and began to be evaluated as they worked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by modern entertainers. Therefore, traditional music of Jeollabuk-do during this period was able to maintain its reputation until the late 20th century, as the supply and demand for its music was met by a growing number of enthusiasts due to the activities of numerous entertainers and the abundance of resources such as the Honam Plains.

■ Keywords: Jeollabuk-do, Pansori, Pungnyu, Sanjo, Nongak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