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4.03.06
수정일
2024.03.06
작성자
예술대학
조회수
111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립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의 대금선율 비교연구

예술과 문화 The Journal of Arts and Culture
통권 제 4호│2023년 8월
ISSN: 2799-9084
31-60(30pages)

서경숙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립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의 대금선율 비교연구

정읍줄풍류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하고 있는 이리줄풍류나 구례줄풍류보다 더 오래된 연원을 지니고 있으며, 각 지방 줄풍류의 형성에 초석이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지방 줄풍류의 본산이라 할 수 있는 정읍줄풍류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국립국악원줄풍류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했다. 악곡으로는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을, 대금곡을 중심으로 악곡 구조 및 선율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정읍줄풍류의 본영산은 1장 3각, 2장 4각, 3장 4각, 4장 3각, 5장 3각의 총 5장 17각으로 구성되었고, 국악원줄풍류의 상영산은 1장 3각, 2장 4각, 3장 4각, 4장 6각의 총 4장 17각으로 구성되었다. 장의 구분은 정읍줄풍류의 5장과 국악원줄풍류의 4장으로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 각 수는 모두 17각으로 동일하였다. 1각의 구성은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악원줄풍류 상영산 모두 4대강 20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읍줄풍류 본영산 장단은 각 대강의 나눔이 6·4·6·4박으로 나누어져 있고, 국악원줄풍류 상영산 장단은 각 대강의 나눔이 6·4·4·6의 형태로 나누어져 있다. 정읍줄풍류 본영산은 E=황종이 기본음인데 비해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은 Eb=황종으로 정읍줄풍류가 국악원줄풍류보다 반음 높다. 시작음과 종지음은 두 곡 모두 임으로 시작해서 완전 4도 위의 음인황으로 종지하는 형태이다. 정읍줄풍류 본영산은 출현하는 음을 기준으로 임(B)·남(C#)·황(E)·태(F#)·중(A)이고, 국악원줄 풍류 상영산은 출현하는 음을 기준으로 임(Bb)·무(Db)·황(Eb)·태(F)·중(Ab)이다. 본영산에서는 상영산에 출현한 무역 대신 남려가 출현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골격음을 기준으로 두 악곡 간의 선율 비교는 두 악곡 모두 전체 68대강에서 거문고 솔로 부분을 제외한 66대강 중 동일 선율이 23회(34.8%), 유사 선율이 26회(39.4%), 다른 선율이 17회(25.8%)로 나타났다. 즉 동일하거나 유사한 선율이 74%로, 두 곡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흐름의 선율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율은 비슷하지만 악보상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읍줄풍류 본영산은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에 비해 리듬이 간결하여 담백한 느낌을 주고,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은 골격음에서 리듬이 확장되어 잔가락이 많아 화려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은 A선율과 B선율이 반복되는 구조이다. 반복되는 위치로 통일된 구조를 지니는데, A선율은 각 장의 마지막 각의 1·2대강에서 반복되고(상령산은 본령산과 다르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5장 3각이 아닌 4장 6각의 1, 2대강에서 반복), B선율은 1, 2, 3, 5장의 마지막각 3·4대강에서 반복된다. 즉, 매 장의 마지막 부분은 동일한 가락이 반복되는 통일감을 보인다. 이로써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의 차이를 알 수 있었고, 이후 나머지 악곡들도 순차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 같다.
■ 주제어: 향제(줄)풍류, 영산회상, 상영산, 본영산, 정읍(줄)풍류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Bonyeongsan tunes of Jeongeup Julpungryu and Sangyeongsan tunes of Gukakwon Julpungryu in tune structure and melody differences around Daegeum pieces.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consists of five chapters and 17 gaks in total including three gaks in Chapter 1, four in Chapter 2, four in Chapter 3, three in Chapter 4, and three in Chapter 5.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and 17 gaks in total including three gaks in Chapter 1, four in Chapter 2, four in Chapter 3, and six in Chapter 4. Even though they had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hapters with the former and latter having five and four chapters, respectively, they were the same in the number of gaks at 17. Each gak consists of four daegangs and 20 beats both in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and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In the beats of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each daegang is divided into 6·4·6·4 times. In those of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each daegang is divided into 6·4·4·6 times. While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uses E=Hwangjong as its basic note,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does Eb=Hwangjong as its basic note, which means that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by a semitone. As for starting and cadence notes, both the pieces begin with Im and end in Hwang, which is a perfect 4th Wieum. As for scale,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is in a re scale of Im(B)·Nam(C#)·Hwang(E)·Tae(F#)·Jung(A) based on its notes.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is in a re scale of Im(Bb)·Mu(Db)·Hwang(Eb)·Tae(F)·(Ab) based on its notes. In Bonyeongsan, the difference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Namryeo appears instead of the trade that appeared in Sangyeongsan. The study compared the two pieces in melodies based on structure notes and found that the two pieces had the same melodies 23 times(34.8%), similar ones 26 times(39.4%), and different ones 17 times(25.8%) in 66 of the entire 68 daegangs except for the Geomungo solo part. That is, the same or similar melodies accounted for 74%, which suggests that the two pieces shared melodies in similar flows overall. Despite their similar melodies, however, they have different feelings on scores.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has light feelings based on their more precise rhythms than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which has splendid feelings based on abundant smaller melodies from the expanded rhythms of structure tones. The Jeongeupjulup-pungryū Bonyeongsan and the Gugakwonjulūpungryūsangs an are structures in which the A and B melodies are repeated. It has a unified structure with repeated positions, and the A melody is repeated in the 1st and 2nd major rivers of the last angle of each chapter (unlike the main song, the Sangyeongsan is not composed of 5 chapters, so it is repeated in the 1st and 2nd rivers of the 4th chapter and 6 angles instead of the 5th chapter and 3 angles), and the B melody is repeated in the last angles of the 1st, 2nd, 3rd, and 5th chapters. In other words, the end of each chapter shows a sense of unity in which the same rhythm is repeated.

■ key words: Hyange (Jul)pungryu, Yeongsanhoesang, Sangyeongsan,
Bonyeongsan, Jeongeup Julpungryu
첨부파일